유럽의 맹주가 다시 돌아온다…핵우산 앞세운 영국, 새 안보축으로 급부상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영국이 유럽의 핵심 축으로 돌아오고 있다.


2020년 공식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 유럽 외교 무대에서 한 때 고립됐던 영국이 최근 들어 유럽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유럽연합(EU)의 핵심 국가인 프랑스·독일과 잇따라 정상회담을 갖고 방위 협약을 맺으며 유럽 동맹을 강화하고 있다.

더구나 트럼프 시대에 미국과 밀착하면서 미국과 유럽간 가교 역할도 톡톡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영국이 ‘핵 우산’을 앞세워 유럽 내 입지 회복에 나선 점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왼쪽)와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다우닝가 10번지 총리공관 앞에서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신화통신 = 연합뉴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17일(현지시간) 취임 후 처음 영국을 방문한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장거리 공격용 무기 개발을 포함한 방위 협정을 체결했다.

양국은 특히 “한 쪽이 무력 공격을 받을 경우 군사적 수단을 포함해서 돕는다”는 약속을 담으며 공동 안보 대응에 합의했다.


영국과 달리 독일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이번 협정에는 “양국이 핵 문제를 포함한 상호 이익의 방위 문제에 대해 면밀한 대화를 유지한다”고 적혔다.


양국은 또 전투기 타이푼 유로파이터와 장갑차 복서 등 합작 무기 판매를 늘리기 위한 공동 수출 캠페인에 나서고, 향후 10년 내 정밀 타격 미사일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런던 켄싱턴의 빅토리아앤드앨버트(V&A) 박물관에서 열려 행사가 ‘켄싱턴 협정’ 체결식이라고 명명됐다.


영국은 지난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국빈 방문 때는 사상 처음으로 핵 억지력에 협력하기로 약속한 데 이어 이날 독일과 협정을 맺은 것이다.

스타머 총리는 지난 9일 마크롱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핵 협력을 강화하고 핵 억지력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영국 정부는 “영국이나 프랑스의 중대한 이익을 위협하는 적대 세력은 강력한 핵전력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양국이 유럽 방위에 특별한 책임을 지겠다는 것을 공식 선언한 바 있다.


러시아로부터의 위협에 더해 미국과의 안보 동맹까지 흔들리면서 유럽의 안보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영국이 자국의 핵 우산을 유럽 전역으로 확대하겠단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EU 회원국 중 핵 보유국은 영국, 프랑스 뿐이다.

영국 중심으로 ‘유럽 강대국 삼각 축’을 새롭게 구축하려는 스타머 총리의 구상이 담겼다는 분석이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이를 두고 “런던, 베를린, 파리의 ‘트라이앵글’이 주도하는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27일 미국 백악관에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를 만나고 있다.

[로이터 = 연합뉴스]

한편 유럽 국가들 중 현재 미국과 가장 긴밀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영국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개월 넘게 전세계와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월 영국은 주요국 중 가장 처음으로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끝냈다.

미국의 관세 정책 핵심 상대국인 중국과의 협상 장소로 런던을 내어주기도 했다.


이와관련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25∼29일 스코틀랜드의 턴베리와 애버딘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코틀랜드에서 스타머 영국 총리를 만나 양국 간 무역 합의를 다듬을 계획이며, 오는 9월 17∼19일에는 영국을 공식으로 국빈 방문한다고 레빗 대변인은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바티칸을 찾은 것을 제외하고, 지난 1월 취임 후 유럽 국가를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의 안보 동맹에서 발을 빼고 유럽에 자력 방어를 요구하는 가운데 영국이 유럽국가들과 공동 방위를 강화하면서도 미국과 밀착도 놓지 않는 모습이다.


가디언은 유럽 국가들이 영국과 스킨십을 강화하는 것을 두고 “브렉시트 이후 영국이 EU에 재가입하지 않더라도 제외될 수 없는 너무 중요한 존재라는 보여준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