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가 공휴일 폐지에 나선다.

쉬는 날을 줄이고 더 많이 일해 생산성을 늘리자는 의도다.

프랑스는 독일과 함께 유로존 내 경제대국 '빅2'로 불렸지만 최근 경제성장률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자 프랑스 정부가 경제 활력을 되살리기 위해 칼을 빼든 것이다.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는 15일(현지시간) 재정건전성 회복 계획을 발표하며 공휴일 2개를 폐지하자고 제안했다.

경제활동을 증진해 국가 부채를 줄이겠다는 얘기다.

바이루 총리는 "국가 전체의 경제활동을 더 활발히 하기 위해 공휴일 두 개를 폐지하자"며 "프랑스인 모두가 더 많이 일하고 더 많이 생산한다면 정부에 추가 수입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경제성장률은 최근 3년간 쭉 떨어져왔다.

2022년 2.5%에서 2023년 0.7%, 급기야 지난해에는 -0.1%로 역성장했다.

지난해 유로존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0.7%로, 프랑스로서는 '빅2'란 이름값에 흠집이 난 셈이다.


이번에 거론된 공휴일은 부활절 월요일과 제2차 세계대전 승전기념일인 5월 8일이다.

프랑스는 연간 공휴일이 총 11개인데, 이 중 3개가 5월에 몰려 있다.

바이루 총리는 "5월에 공휴일이 너무 많다"고 지적하며 두 날을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이 조치가 "수십억 유로의 수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방만한 예산 조이기에도 나선다.

바이루 총리는 이날 2026년도 예산안 주요 방향을 설명하며 국방 예산을 제외한 모든 정부 지출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프랑스는 국가부채가 유럽연합(EU) 가운데 그리스와 이탈리아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바이루 총리는 "프랑스 공공부채가 지난해 기준 3조3000억유로(약 5317조3560억원)를 넘어섰다"며 "부채에 압도되기 직전"이라고 말했다.


[한지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