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가 '스테이블코인 대응 태스크포스(TF)'(가칭)를 구성해 업계 차원에서 대응에 나선다.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면서 전 금융권에서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논의에도 불이 붙었는데, 이에 따라 기존 카드 위주의 결제 시장이 대체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카드사들은 여신금융협회를 주축으로 한 스테이블코인 TF를 만들어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아직 스테이블코인 관련 제도가 법제화되기 전이지만 실제 규정 등이 완비됐을 때 바로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위기감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여신금융협회는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해 카드사들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 과정을 마친 뒤 TF를 구성해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TF에서는 카드업계 차원에서 향후 어떻게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대응할지, 관련 생태계에서 카드사들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에 앞서 여신금융협회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겸영업 또는 부수업 항목으로 추가하는 방향의 법 개정을 건의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카드사들이 스테이블코인 관련 대응에 적극 나선 것은 스테이블코인이 상용화되면 카드사의 본업인 '결제'를 완전히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하면 소비자는 블록체인 지갑을 통해 가맹점에 직접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은행·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PG)사·밴(VAN)사 등을 거치지 않고서도 결제가 가능해진다.

카드업계에서는 결제 부문을 확보하지 못하면 업황 자체가 존폐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크다.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