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해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석탄과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균형 있게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굉장히 중요한 숙제"라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줄이고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둘을 적정하게 섞는 것이 앞으로의 에너지 정책이 돼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과거 김 후보자가 탈원전 정책에 앞장서 왔다는 점을 집중 지적했다.

특히 과거 문재인 정부 때 김 후보자가 서울 노원구청장을 지내며 '탈원전이 대세'라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당시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계가 깜짝 놀랐을 때"라며 "최근에 제가 탈원전을 주장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때는 설계수명이 다 된 원전은 (운영을) 중단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도)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기후·에너지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장관이 된다면 기후에너지부 논의는 가장 우선해서 해야 할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기후대응댐 사업에 대한 재검토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꼭 필요한 것만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대응댐은 환경부가 홍수·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