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게이트’ 특검, 김범수·조현상·김익래 줄줄이 소환...피의자 전환 주목

자본잠식 렌터카업체에 184억 투자
카카오모빌·한국증권금융·HS효성·키움증권 소환
김여사 친분 활용해 각사 리스크 무마 정황 주목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에 관한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집사 게이트’ 의혹과 관련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등 기업 총수 4명에게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다.


특검팀은 14일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에게 오는 17일 오전 10시 출석하라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참고인 신분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구체적인 조사 경과에 따라 피의자 전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검은 김건희 여사와 모친 최은순씨의 ‘집사’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 김씨 관련 게이트를 수사하고 있다.

김씨가 임원으로 있던 렌터카 플랫폼 업체 IMS 모빌리티는 2023년 6월 사모펀드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184억원 투자금을 모았다.

회사는 당시 자본잠식 상태였는데도 거액이 모여 투자 유치 과정이 석연찮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검은 김씨가 김 여사와의 관계를 내세워 부당하게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투자한 기업들은 당시 검찰 수사 등 각종 법적 리스크를 안고 있었다.

이에 김 여사 측근인 김씨가 기업 리스크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기대하고 투자를 단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30억원을 투자한 카카오모빌리티는 투자 수개월 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택시콜 몰아주기 논란으로 200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4개 계열사를 통해 총 35억을 투자한 HS효성은 당시 언론에 세금탈루, 자금 유용 등 내부고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처벌을 피하기 위한 투자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국증권금융은 투자에 나선 기관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50억원을 투자했는데, 국내 유일한 증권금융 전담사로 시장 영향력이 큰 기관이 영업 상황이 좋지 못했던 IMS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한 배경에 의구심 섞인 시선이 따랐다.


키움증권은 ‘라덕연 일당 주가조작 사태’ 때 김익래 회장이 다우데이터 주식을 대거 매도했다가 논란에 휩싸이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상황이었다.


IMS모빌리티 측은 투자가 정치적 영향력이 아닌 사업적 판단에 따른 투자였다고 해명했다.

HS효성그룹 계열사인 더클래스 효성이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인 만큼, 렌터카 시장을 공략하는 회사와 시너지가 고려돼 투자가 이뤄졌다며 대가성 투자 의혹을 부인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에도 렌터카 서비스를 출시하며 회사 측 중개 플랫폼을 도입해 상생 관계가 형성된 게 투자 배경이라며 의혹을 반박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도 사업적 협력 관계를 고려해 투자했다는 입장이다.

한국증권금융 역시 재무적 관점만 따져 투자를 결정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검팀은 이들 투자가 실제로 경영상 합리성을 갖췄는지, 또는 투자 결정에 외부 인물의 영향력이 작용했는지 집중적으로 수사할 것으로 보인다.


또 논란이 되는 대목은 184억 투자금 중 46억원은 이노베스트코리아라는 회사가 보유한 IMS 구주를 매입하는 데 사용됐는데, 이노베스트코리아의 유일한 사내이사는 김씨의 아내 정씨다.

때문에 해당 회사가 김씨 소유 차명회사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결과적으로 김씨는 기업들의 투자금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엑시트’ 할 수 있었던 셈인데, 특검팀은 이 자금이 김 여사 측에 흘러간 게 아닌지도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씨는 김 여사가 2010년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을 다니면서 알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는 2012~2015년 코바나콘텐츠 감사를 지냈다.

김씨는 2013년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차명으로 부동산을 매입할 때 금융기관에 제출한 허위 잔고 증명서를 직접 만들어준 인물이다.

그는 이 사건으로 기소돼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확정받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