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하며 불거진 미 관세발 경기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 여파에도 물가와 고용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엄포를 수차례 스스로 거둬들이며 시장에 낙관적인 기대를 불어넣고 있어서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월가 투자은행과 대학, 컨설팅 업체에서 근무하는 경제학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은 평균 33%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인 4월 집계치(45%)보다 하락한 수치다.
아울러 경제학자들은 올해 미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전기 대비 연율 기준)로 내다봤다.
이 역시 4월 전망치(0.8%)에 비해 개선됐다.
낙관적 전망이 제기되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드라이브에도 미국 경제가 잘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시장이 가장 염려하던 관세발 물가 상승이 일어나지 않은 점이 꼽힌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올해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를 기록했다.
이후 관세 위협이 계속됐으나 올해 5월 CPI 상승률은 2.4%로 되레 떨어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본격화되기 전 소비자들과 기업이 서둘러 해외 상품 '사재기'에 나선 영향이 컸다.
물가가 잠잠하면서 고용 상황은 오히려 호전됐다.
미국의 6월 실업률은 4.1%로 전월(4.2%)보다 낮아졌다.
전망도 개선됐다.
WSJ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간 고용이 월평균 7만4070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4월 조사치(5만4619명)보다 높은 수치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수차례 관세를 통보했다가 유예해온 이력도 낙관적 전망의 배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뒤 일주일 만에 90일간 유예했다.
그러다 지난 7일부터 각국에 다시 상호관세 서한을 보내며 다음달 1일로 부과 시점을 못 박았다.
그러나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진정성을 믿지 않았다.
지난 10일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종전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그러나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관세 충격이 경제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향후 어떤 파급 효과를 낳을지 불확실하다는 주장이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본격 시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변수다.
WSJ는 "전망이 다소 나아지기는 했으나 경제학자들은 여전히 조심스럽고 낙관론이 지속될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