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박람회 통해 도내 바이오기업 해외 진출 지원
박셀바이오·디알큐어 등 차세대 치료기술 집중 홍보
미국·아시아 기업들과 기술이전·공동연구 논의
WHO 캠퍼스·국가전략산업단지 지정으로 성장 탄력
 |
전남바이오진흥원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최대 바이오산업 박람회인 ‘바이오 USA 2025’에 참가해 전남의 바이오산업 혁신 역량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전남바이오 진흥원 제공. |
전남바이오진흥원이 ‘백신·면역 클러스터’ 전략을 앞세워 글로벌 바이오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전남바이오진흥원은 18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바이오 USA 2025(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에 2년 연속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개최되며, 전 세계 1800여 개 바이오·제약기업과 2만여 명의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혁신 기술과 협력 기회를 공유했다.
진흥원은
박셀바이오, 디알큐어,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과 함께 참가단을 구성해 전남만의 차세대 기술을 집중 소개했다.
구체적으로는 △세포치료제 △
나노입자 기반 암 치료 플랫폼 △임상연구 인프라 등 항암·면역 분야에서 특화된 기술력을 선보였다.
박람회 기간 동안 참가단은 미국, 아시아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기술이전, 공동연구, 해외투자 유치 등 실질적인 협력 논의를 활발히 전개했다.
또한 보스턴 현지의 대학, 바이오헬스기업, 클러스터를 방문해 글로벌 연구 환경과 산학연 협력 모델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전남 바이오특화단지 조성에 해외 선진사례를 접목할 계획이다.
참가 기업들은 “2년 연속 세계 최대 바이오 박람회에 참여하면서 전남 바이오기업의 기술력을 국제무대에 확실히 알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 전남 바이오산업의 성장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전남은 이미 화순전남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메디컬 클러스터와 전남바이오진흥원 등 공공기관이 집적된 바이오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WHO(세계보건기구)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선정과 더불어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특화단지 지정 등 굵직한 국책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신흥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남도는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백신·면역’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해 지역 경제를 견인하고, 글로벌 기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