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장차관과 공공기관장 인선에서 추천 횟수보다는 '추천 사유'를 기준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국민추천제가 인기투표로 흐를 수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종 인선 발표에서도 추천 횟수는 밝히지 않기로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어제(15일)까지 접수 건수가 7만4000여 건을 기록했다"며 "마감 이후 객관적 평가를 거쳐 대상자가 선정되면 투명한 검증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정 기준은 추천 사유에 방점을 찍기로 했다.

얼마나 많은 추천을 받았는지보다는 '추천된 이유'를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강 대변인은 "국민추천제는 인기투표가 아닌 만큼 추천 횟수는 단순한 참고 사항일 뿐"이라며 "추천 사유가 더 중요한 판단 요소"라고 설명했다.

최종적으로 인선이 이뤄질 때도 추천 횟수는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인사 검증을 맡아야 하는 민정수석은 조만간 채울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민정수석 (인선은) 진행 중이며 균형인사제도비서관실에서 이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면서 "나름 합리적인 절차를 마련 중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추천제 실효성을 놓고선 여전히 뒷말이 나온다.

인기투표를 경계하기 위해서였지만 추천 횟수를 밝히지 않기로 하면서 '깜깜이 추천'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결국에는 명분 쌓기용으로만 활용될 것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국민추천제를 실시한 바 있다.

수많은 인재를 영입하긴 했지만 누가 국민추천제로 들어왔는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성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