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폭염·폭설 등 이상기온 영향으로 농업소득은 14% 줄어든 반면 어업소득은 김값 상승 등 영향으로 30% 뛰었습니다.

또 농가와 어가의 부채는 모두 사상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소득은 5천59만7천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습니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에 농업외소득, 정부 지원 등 이전소득, 일시적인 비경상소득 등을 모두 합한 것입니다.

농가소득은 전년 10.1% 늘어났지만 1년 만에 다시 감소했습니다.

작년 폭염·폭설로 축산가구 피해가 늘면서 농업소득이 14.1%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

농업소득은 2023년 1천143만원에서 지난해 958만원으로 감소해 1천만원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값 하락과 한우·육계 도매 가격 하락, 한우 사육 마릿수 감축 등도 농업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인건비와 전기료 상승 등으로 인해 농가경영비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농업외소득(+0.7%), 이전소득(+6.1%), 비경상소득(+5.5%) 등은 모두 증가했습니다.

농업외소득 증가 요인은 근로수입과 임대수입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다만 농업외소득 중 숙박·음식점업 등 겸업소득은 3.1% 줄었습니다.

이전소득 증가는 공익직불금 등 공적보조금이 전년 대비 7.2% 늘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공익직불금 지급액은 2조5천231억원으로 3.1% 늘었고 지방자치단체의 농업인수당은 8천255억원으로 2.5% 증가했습니다.

농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천931만7천원으로 3.6% 증가했습니다.

작년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전년보다 1.3% 늘어난 6억1천618만5천원이었습니다.

특히 재고, 금융자산 등 유동자산이 전년보다 11.9% 늘었습니다.

농가 부채는 평균 4천501만6천원으로 8.3%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스마트팜, 축사 현대화 등 투자 증가와 정책자금 확대·상환 연기의 영향으로 농업용 부채가 6.8% 늘었고 숙박업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투자 증가로 겸업·기타용 부채가 13.3% 늘었습니다.

영농형태별 농가소득을 보면 채소농가(6.4%)를 제외한 논벼농가(-3.6%), 과수농가(-0.2%), 축산농가(-19.9%) 등이 모두 줄었습니다.

작년 이상기온 영향으로 채소 작황은 좋지 않았지만 가격 상승, 시설재배 증가 등 영향으로 채소농가 소득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작년 어가의 연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6.2% 늘어난 6천365만2천원이었습니다.

어가소득은 196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이고, 증가율은 2001년(17.9%) 이후 최대 폭입니다.

어업소득(2천788만5천원)이 전년보다 30.2% 늘면서 어가소득을 끌어올렸습니다.

작년 김값이 2배 가까이 상승했고 일부 어종 단가도 개선된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입니다.

어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천582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5.7% 늘었습니다.

어가의 평균 자산은 5억3천386만8천원이고, 평균 부채는 7천82만6천원으로 최대였습니다.

각각 전년보다 3.8%, 6.5% 늘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