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생명. [사진 출처 = KDB생명]
KDB생명이 최근 자본잠식으로 집계된 상황에 대해 19일 보험 계약자와 시장의 불안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상황은 회계상 측면일 뿐, 계약 안정성 등과는 별개여서다.


KDB생명은 새 회계기준(IFRS17) 제도 도입 이후 보험계약을 시가로 평가, 시장금리 하락과 감독당국의 보험부채평가 할인율 추가인하 조치 등의 외부요인으로 평가손실이 자본에 반영돼 자본잠식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KDB생명은 실제 보험금 지급 여력이나 현금 유동성 부족과는 무관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험사의 실질적인 지급 능력이나 가입고객 계약의 보장 안정성과는 별개의 개념이어서다.


KDB생명 관계자는 “회계상 측면일 뿐 실질적으로 고객에게 지급해야 할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의미는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KDB생명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지난해 12월말 기준 158.2%(경과조치 후) 였으나 올해 3월말 기준으로 감독당국의 권고치인 150%(경과조치 후)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KDB생명은 지난 3월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현재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금융당국과 대주주인 한국산업은행과 긴밀하게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KDB생명 관계자는 “보험시장을 둘러싼 녹록지 않은 대내·외 환경을 이겨내고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과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애쓰고 있다”며 “상품 및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견고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힘쓰는 중이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