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시장 등에서 식재료 구매와 식당에서 외식이 동시에 줄어드는 이례적인 현상이 2년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음식료품 소매판매지수와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부터 꾸준히 줄었습니다.

음식료품과 외식 소비는 한 쪽이 줄면 다른 쪽이 늘어나는 등 보완적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의식주 중 '식'에 해당하는 먹거리는 소득 등 외부 요인이 변해도 반드시 소비해야 하는 필수재로, 조리된 음식을 사 먹거나 식자재를 사서 요리해 먹거나 둘 중 한 쪽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처럼 음식료품 소비와 외식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현상입니다.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2021년까지 매년 증가했지만 2022년 2.5% 줄어든 뒤 3년째 줄었습니다.

처음엔 배달 음식 수요가 늘어난 점이 일부 영향을 미쳤으나, 현재는 배달 매출을 포함한 전체 음식점업 생산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음식점업 생산은 2021년과 2022년 2년 연속 반등에 성공했지만, ▲2023년 0.7% ▲2024년 1.9% 잇따라 줄었고 감소 폭도 커졌습니다.

이는 채소·과일에 이어 가공식품까지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건설업 등 경기 부진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탓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채소·과일 등 농산물 물가는 2023년 이후 이상기온 등 영향으로 폭등세를 보이며 소비자물가를 견인해왔습니다.

농산물 물가는 최근 안정세를 보이지만 이번에는 작년 말 고환율 기조가 시차를 두고 수입 원재료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지난 달 가공식품 물가는 4.1% 올라 2023년 12월 4.2% 이후 1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외식물가도 3.2% 오르며 작년 3월 3.4% 이후 13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경기 부진으로 가계 구매력이 약해진 점도 먹거리 소비 위축의 주된 요인으로 꼽힙니다.

국내총생산(GDP)의 약 15%를 차지하는 건설업 생산은 최근 4개 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습니다.

올해 1분기에는 20.7% 줄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3분기 -24.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가 어려워지고 고용도 불안정해지면서 저소득층이 필수재 소비지출을 줄이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