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왕복 720회 거리 달린 이영흠 씨
현대차, 배터리·전기모터 ‘무상 교체’ 제안
연구 결과 배터리 잔존 수명 87.7% ‘정상’

아이오닉5 차주인 이영흠 씨는 3년간 66만㎞를 달렸다.

기자재를 설치하고 수거하는 영업사원 직업 특성상, 유지비용이 적게 들고 장거리를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차량을 찾다가 아이오닉5를 구입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영상이 하나 있다.

3년 만에 무려 66만㎞를 달렸다는 아이오닉5 차량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다.

3년간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600㎞를 달려야 달성 가능한 기록에 누리꾼 사이에서는 갑론을박이 펼쳐지기도 했다.


결과는 ‘진실’이다.

현대차그룹은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해당 차량 배터리를 수거해 자체 분석했다.

배터리 잔존 수명은 87.7%로 확인됐다.

현대차 입장에선 자사 전기차의 높은 내구성과 완성도를 실제 사례로 입증한 셈이다.


이슈가 된 차량은 아이오닉5 롱레인지 RWD 모델이다.

차주인 이영흠 씨는 기자재를 설치하고 수거하는 영업사원으로, 직업 특성상 하루에 많게는 900㎞를 운전하는 일도 빈번했다.

유지비용이 적게 들고 장거리를 편안하게 다닐 수 있는 차량을 찾다가 전기차인 아이오닉5를 구입했다.


이 씨는 2년 9개월 동안 58만㎞를 주행한 시점에 현대차로부터 ‘배터리 등 주요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해주겠다’는 제안을 받았다.

현대차 기아 연구소는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해당 차량 배터리를 연구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이 씨는 아이오닉5 구입 후 2년 9개월 동안 58만㎞를 주행한 시점에 현대차그룹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는 이 씨에게 “배터리와 전기 모터 등 주요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해주겠다”는 제안을 하며 해당 차량 배터리를 연구해보고 싶다고 했다.

전기차 내구 성능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가 고객 협조를 구한 배경이다.

해당 아이오닉5는 연구소 제안을 받은 당시에도 고장 없이 정상 주행이 가능한 상태였다.

그 전까지는 한 번도 수리하거나 교체한 적 없었던 부품들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내구성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수명 예측 모델을 지속 연구해오고 있다.

이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일정 기간 주행한 전기차 고객 차량을 확보해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연구를 수행한 윤달영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책임연구원은 “조사 당시 아이오닉5 기준 최다 주행 거리를 기록한 이 씨 차량이 실제 운행 데이터를 확보하기에 최적의 후보라고 판단했다”며 “동의를 받고 배터리를 포함한 주요 구동 부품을 수거하는 대신 신품으로 교체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이 씨 차량 배터리 잔존 수명은 87.7%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연구를 수행한 윤달영 현대차·기아 배터리개발센터 책임연구원. (현대차그룹 제공)

연구소 분석 결과 수거된 배터리 잔존 수명은 87.7%로 확인됐다.

이는 일부 국가에서 정상 주행한 전기차 배터리 잔존 수명이 급격하게 하락했다는 불만이 종종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보통 차 한 대가 폐차될 때까지 20만㎞ 전후를 주행한다.

58만㎞라는 주행 거리에도 정상 범주 이상의 배터리 상태를 유지했다는 점은 현대차·기아 전기차 뛰어난 내구 경쟁력을 입증하는 결과다.

이 씨는 “매일 같이 100% 급속 충전을 했는데도 60만㎞를 넘게 달리는 동안 아무 문제가 없었다”며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도 초기에 비해 아주 조금 줄었을 뿐 꾸준히 안정적으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윤달영 책임연구원은 “현대차·기아는 그 어떤 주행 상황이나 패턴 가운데에서도 안정적인 내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반복 충·방전 시험, 수개월간 방치 시험을 병행하는 등 가혹한 시험 평가를 거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실차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전기차 배터리 설계 가이드를 제안하는 등 노하우를 쌓아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