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2029년 개항 어려워지나…현대건설, 2년 공기 연장 요구

공사비도 10조5천억원보다 1조원 더 필요
현대건설 컨소시엄, 기본설계안 제출
대안 없어 우선협상 대상자 자격 박탈도 쉽지 않아
부산시 “추가 사업 지연 없도록 조치해야”

부산 가덕도신공항의 2029년 12월 개항이 불투명해졌다.


28일 부산시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등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수의계약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이날 국토교통부에 108개월(9년)의 공사 기간이 필요하다는 기본설계안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 기간인 84개월(7년)보다 2년이 늘어나 사실상 국토부가 입찰 때부터 여러 차례 제시한 2029년 12월 개항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한 건설사 관계자는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 기간과 예산을 현실적으로 맞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연합뉴스]
공사비도 정부가 설정한 10조5000억원보다 1조원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경쟁 입찰이 4차례 유찰되자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으로 구성됐다.

입찰 과정에서 계속 단독 응찰해 2029년 12월 개항이라는 공고 조건을 모를 수 없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공기 연장을 요구하고 나선 것 자체가 우선협상 대상자 적격 여부 논란으로 비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토부 입장에서는 어렵게 사업자를 선정해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무작정 우선협상 대상자 자격을 박탈하기 쉽지 않아 기본설계안을 정식으로 받아본 뒤 입장을 정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가덕도 연대봉에서 바라본 가덕도 신공항 예정지 [연합뉴스]
부산시는 이날 오후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이 이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정부의 책임 있는 결단과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부시장은 “정부는 적정 공사 기간과 현장 여건, 시공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건설 로드맵을 제시하길 바란다”며 “적기에 착공해 추가적인 사업 지연이 없도록 책임 있고 신속한 후속조치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김 부시장은 “가덕도신공항이 안전과 품질을 갖춘 완벽한 공항이 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해 주기 바란다”며 “국책사업인 만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겠지만, 부산시에서도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