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없으면 망하는데”...배송 중단 사태 일으킨 트럼프 관세전쟁

DHL “800불 넘을땐
물품 배송서비스 중단”
뉴욕 차이나타운 타격

도색까지 마친 보잉
미국에 다시 돌아와

중국 샤먼항공에 인도 예정이었던 737 MAX 비행기가 관세 분쟁으로 중국에서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보잉 생산기지로 돌아왔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 올린 관세전쟁 폭풍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물류와 소상공인, 항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세 충격이 발생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DHL 익스프레스가 21일부터 미국 내 개인 고객에게 800달러가 넘는 글로벌 기업·개인 간(B2C) 배송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DHL은 새로운 미국 세관 규정 때문에 배송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2500달러가 넘는 물품에 대해서 정식 통관 절차가 요구됐지만, 지난 5일부터 이 대상이 800달러 초과 상품까지 확장됐다.


DHL은 기업 간(B2B) 배송은 중단되지 않지만 지연될 수 있으며, 800달러 이하의 배송은 개인과 기업 모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도 밝혔다.

그러면서 DHL은 이번 조치가 일시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을 겨냥한 고율 관세 정책은 뉴욕 내 차이나타운 소상공인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날 FT는 가게를 운영하는 중국계 미국인들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된 145% 관세로 인한 비용 상승을 늦추기 위해 물품을 비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 차이나타운에서 26년 동안 돼지고기 레스토랑을 운영한 앤디 왕은 FT에 “가능한 한 오랫동안 운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재고를 쌓아야 한다”며 “여기서 볼 수 있는 모든 것은 미국에는 대체품이 없거나 매우 비싼 것만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관세 인상은 생계유지를 위해 중국 상품에 의존하는 지역사회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미국 보잉사도 희생됐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샤먼항공에 인도될 예정이던 보잉 맥스 737 항공기가 전날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보잉 생산기지에 착륙했다.


샤먼항공 소속을 의미하는 도색 작업까지 완료된 이 항공기는 중국 저장성 저우산에 위치한 보잉사의 완성센터에서 마감 작업과 인도 대기 중이던 항공기 중 1대였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중국 당국이 미국과의 관세 전쟁 보복 조처의 하나로 자국 항공사에 보잉사 항공기 인도를 중단하라고 명령했다고 최근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항공기가 “트럼프 대통령이 발동한 글로벌 무역 공세로 인한 미·중 간의 상호 보복 관세 조치로 희생됐다”면서 “보잉의 베스트셀러 모델인 맥스 737의 미국 귀환은 수십 년간 유지된 관세 면제 지위가 붕괴하면서 신규 항공기 인도에 차질이 생기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신 사례”라고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