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중국의 AI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업계 전반에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
특히 '챗GPT의 아버지'라 불리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 CEO는 직접 한국을 방문해 국내 주요 기업들과의 협업을 구축했는데요.
샘 올트먼 CEO는 오늘 삼성과 SK,
카카오 등과 만나는 등 광폭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조문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오늘(4일) 약 1년 만에 한국을 찾은 샘 올트먼 오픈AI CEO.
국내 주요 AI 기업들의 수장들을 직접 만나 AI 동맹 강화에 나섰습니다.
저비용 고효율을 앞세우며 맹추격하는 중국의 AI 딥시크를 견제해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 인터뷰 : 샘 올트먼 / 오픈AI CEO
- "(한국은) 에너지, 반도체, 인터넷 회사 등도 많고요. 이런 것들을 다 봤으면 정말 강력한 AI를 채택할 수 있는 국가라고 보고 있습니다. 저희한테도 정말 좋은 시장입니다. 그리고 굉장히 빠르게 발전을 하고 있어서…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한국 AI에 정말 더 집중할 예정이고 저희도 정말 기대하고 있습니다."
오픈AI는 한국의 대표 토종 플랫폼인
카카오와도 손잡았습니다.
향후
카카오와의 공동 제품 개발을 통해 AI 대중화를 앞당기겠다는 계획입니다.
▶ 인터뷰 : 정신아 /
카카오 대표
- "
카카오는 오픈AI의 챗GPT 등 최신 AI 기술 API들을 카나나 서비스를 포함해 다양한 AI 프로젝트 론칭에 활용하게 됩니다. 양사가 함께
카카오의 5천만 사용자들을 위한 공동 제품 개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올트먼 CEO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도 만나 AI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HBM을 포함한 반도체 분야와 AI 비서 서비스 협력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앞서 올트먼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스마트폰을 대신하는 AI 전용 단말기와 독자 반도체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특히 올트먼 CEO는 오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의 3자 회동 소식도 알려졌는데,
이재용 회장이 무죄선고를 받은 이후 첫 공식 행보라는 점에서 재계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현재 올트먼 CEO와 손 회장은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합작 벤처 설립에 함께 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여기에 동참할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옵니다.
올트먼 CEO가 국내 주요 기업 수장들과 동맹을 굳건히한 만큼, 이번 방한이 한국 AI 산업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