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요소 수입국이 다변화됨에 따라 중국발 수급 불안 때마다 되풀이된 '요소수 대란'의 추가 발생 가능성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3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수입한 35만8천여톤의 요소 가운데 중국산 요소의 비중은 27.1%로, 2023년 88.1%에서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53.1%의 베트남이었고, 중국과 일본, 카타르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중국산의 비중이 급감한 것은 정부의 수입국 다변화 정책이 있었고, 이에 업계가 적극 부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 이정호 기자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