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6%로 4년 연속 하락했습니다. 1인 가구 분화 등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수가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택 공급 부족 문제까지 겹친 탓입니다.

오늘(12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를 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5%로 1년 새 0.4%포인트 올랐습니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충분한지를 양적으로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보급률이 102.5%라는 것은 전체 가구가 100가구라면 주택은 그보다 더 많은 102.5채가 있다는 뜻입니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쉬지 않고 올랐습니다.

2020년 103.6%로 꺾인 뒤 하락을 거듭했지만 3년 만에 다시 상승했습니다.

문제는 서울의 주택보급률입니다.

서울 보급률은 2019년 96.0%에서 2020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 2023년 93.6%로 4년 연속 하락했습니다.

이로 인해 2009년(93.1%) 이후 14년 만에 최저치가 됐습니다.

2023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14만1천7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7만8천500가구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6만3천가구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공급이 둔화되며 가구 수 분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 것입니다.

2023년 서울의 주택 준공(입주)은 4만1천218가구로 2009년(3만5천390가구) 이후 14년 만에 가장 적었으며, 2020년(8만1천406가구)의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9.3%), 인천(99.1%), 대전(96.4%) 4곳입니다.

그러나 경기 주택보급률은 2023년 0.7%포인트, 인천은 1.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대전은 0.8%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지방 주택보급률은 2019년 110.1%에서 2020년 108.9%, 2021년 107.4%, 2022년 107.5%로 줄었으나 2023년 107.7%로 반등했습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1%)이며, 전남(112.6%), 충남(111.7%), 충북(111.2%)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런 한계에도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주택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정부가 그간 2022년 8·16대책, 2023년 9·26대책, 2024년 1·10대책과 8·8대책 등 네 차례의 공급 대책을 발표했으나 2026년을 전후로 공급 불안이 본격화하며 집값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히 나오고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