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당국의 주문으로 금융권의 가계대출 문턱은 높아진 상황입니다.
은행들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기업대출을 늘렸지만, 최근 이마저도 걸어잠그는 모양새입니다.
어찌된 일인지 김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은행권이 가계대출에 더해 기업대출의 문턱까지 높이고 있습니다.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주문에 올해 은행들은 기업대출을 크게 늘렸습니다.

4대 은행의 기업대출 규모는 3분기 기준 약 727조3천억으로 지난해 말보다 9% 가까이 늘었습니다.

그러나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3분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4대 은행 모두 지난해 말보다 늘었습니다.

대출 취급액이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연체율은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은행권은 기업대출 관리에 나섰습니다.

 우리은행은 최근 모든 영업점에 '그룹장 여신금리 전결권'을 연말까지 일시 중단한다고 통보했습니다.

영업점에서의 자율적인 우대 금리 시행을 줄여, 기업대출이 늘어나는 속도를 조절한다는 계획입니다.

 하나은행 역시 영업점에 기업대출 확대 자제와 건전성 관리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이러한 기조는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지주들은 올해 밸류업의 일환으로 13% 이상의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 유지 계획을 내세웠습니다.

보통주자본비율이란 총자본에서 보통주로 조달되는 자본의 비율로, 위기 상황에서의 손실흡수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위험가중자산을 줄여야 하는데, 가계대출보다 연체액이 큰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연말에 도입되는 '스트레스 완충자본' 제도 역시 이러한 상황에 일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제도가 도입되면 은행들은 보통주자본비율을 최소 11.5%로 유지하면서, 이후 스트레스 상황을 대비한 완충자본도 확보해야 합니다.

이때문에 연체율 리스크가 있는 기업대출 취급은 더욱 줄어들 전망입니다.

다만 기업대출이 끊길 경우 중소기업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인터뷰 : 이정희 /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들이 여러가지 담보력과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대출에 여러 가지 제한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정부가 중소기업들이 자금난으로 인해서 혹시나 쓰러지거나 유동성 위기를 겪지 않도록 면밀히 살펴보고, 또 필요한 지원 대책을 강구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출 한파가 예상되는 가운데 은행권과 기업들의 자본 확보 양상이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