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휴가 기간 국내 여행을 가려는 이들은 7월 말부터 8월 초에 승용차를 이용해 동해안으로 떠나겠다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달 국민 1만여 명을 대상으로 '2023년 하계휴가 통행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교통 수요가 예상됐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휴가 여행 출발 예정 일자로 7월 29일∼8월 4일을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19.3%로 가장 많았고, 이어 8월 19일 이후가 16.6%, 7월 22∼28일이 11.5%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여행 예정지는 동해안권(24.2%), 남해안권(19.6%), 서해안권(11.1%), 제주권(10.1%) 순이었습니다.

교통수단으로는 대부분 승용차(84.7%)를 이용할 것으로 답했습니다.

이어 항공(6.6%), 버스(4.6%), 철도(3.7%), 해운(0.5%)으로 조사됐습니다.

국토부는 이런 조사 결과를 반영해 오는 25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22일간을 '특별 교통대책 기간'으로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책 기간에는 총 1억121만 명, 하루 평균 460만 명(전년 대비 3.4% 증가)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하루 평균 고속도로 이용 차량 대수는 523만 대(전년 대비 5.1% 증가)로 예측됐습니다.

평소 주말(474만 대)보다는 많고 금요일(534만 대)보다는 적은 수준입니다.

이번 대책에는 갓길 차로 운영, 혼잡 도로 집중 관리, 휴가객을 위한 임시 화장실 등 편의시설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 고속버스, KTX, 항공편 등 대중교통 운행 횟수를 늘리고, 다음 달 초 새만금에서 열리는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행사를 위한 이동 지원 방안 등도 포함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