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새 회계기준'에 역대급 실적…금감원 "리스크관리 필요"

금융감독원이 1분기 '역대급' 실적을 거둔 보험사들에 대해 새로운 회계제도 도입에 따른 착시효과가 상당 부분 반영돼 있다며 리스크 관리 강화를 당부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1분기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합산 당기 순이익이 5조2천3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이중 6천200억 원이 새로 도입된 회계제도인 IFRS9에 따른 효과, 1조5천900억 원은 신계약비 상각기간 확대에 따른 효과로 추정된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보험업권에는 올해 보험부채를 시가평가하는 회계기준인 IFRS17과 함께 금융상품 회계기준인 IFRS9이 도입됐습니다.

IFRS9는 기존 회계기준에서 기타포괄손익으로 분류했던 수익증권을 당기손익으로 처리하는데, 올해 1분기 중 금리하락으로 인해 보험사가 가진 채권형수익증권의 평가이익이 증가하면서 순이익이 증가하는 효과를 냈다는 겁니다.

또 기존 회계기준에서는 신계약비 상각기간이 최대 7년이었는데 IFRS17에서는 보험 전체 기간으로 확대되면서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했습니다.

이런 제도변경 효과를 제외한 당기 순이익은 3조200억 원으로 작년 1분기 당기 순이익(3조700억원)보다 오히려 적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입니다.

금감원은 "올해 1분기 발생한 보험사 이익 중 상당금액은 IFRS9에 의한 투자손익에 의해 발생한 미실현 이익"이라며 "향후 금리변동에 따라 손익이 크게 변동할 수 있어 보험회사는 위험 분산 상품 등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