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배터리 3사가 호황을 누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이차전치 무역수지는 올해 처음으로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1일) 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리튬이온축전지'(HS 6단위 기준)로 분류되는 이차전지의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각 25억 달러, 29억8천만 달러로, 4억8천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해당 품목에서 적자가 난 것은 관련 품목 통계가 있는 2012년 이후 처음입니다.
이차전지 흑자 규모는 2012년 16억 달러에서 2019년 34억3천만 달러까지 증가해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후 감소하는 추세에도 지난해 16억5천만 달러의 흑자를 냈는데, 올해 들어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이는 한국의 완제품 배터리 수출이 꾸준히 늘고는 있지만, 완제품 배터리 수입 속도가 이보다 더 빨리 증가한 데 따른 결과입니다.
1∼4월 이차전지 수입 증가율은 104.8%로 같은 기간 수출 증가율 19.4%를 압도했습니다.
이런 변화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미국 인플
레이션 감축법(IRA) 등 국제 공급망 질서의 변화에 대응해 해외 생산 비중을 공격적으로 늘려가는 상황과 관련이 깊다는 분석이 우선 나온다.
한국 업체들이 해외 배터리 완제품 공장을 늘려 그만큼 '한국산' 배터리의 수출 증가율은 둔화하는 반면, 중국 등 해외 공장에서 생산된 K-배터리의 '역수입'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 겁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난징 공장에서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SK온 역시 중국 창저우·후이저우·옌청에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
이 밖에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중국 CATL 제품의 국내 자동차 적용이 늘어나는 것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완제품 수입 급증의 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