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가구 중 약 39만 가구가 소득의 70% 이상을 빚 갚는 데 쓴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2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금융부채가 있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이 70% 이상인 자영업 가구는 38만8천387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해 추정한 결과입니다.
DSR이 70% 이상인 자영업 가구의 금융부채는 모두 109조 원에 달했습니다.
전체 가구의 소득 하위 30%에 속하면서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39만1천 가구) 가운데
DSR이 70% 이상인 '고
DSR 가구' 비중은 21.7%(8만5천 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 전체의 고
DSR 가구 비중인 12.4%의 약 2배 수준입니다.
소득 하위 10%에 속하면서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의 고
DSR 비중은 43.9%로 평균의 3.5배 수준이었습니다.
소득이 적은 자영업 가구일수록 번 돈으로 빚 갚은 데 쓰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 의원은 "자영업자와 서민의 고통이 계속되는 한 코로나19 위기는 끝난 게 아니다"라며 "금융지원 조치를 연장하고 소상공인에 대한 저금리 정책 자금 대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김두현 기자 / kim.dooh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