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올해 1분기 국내 카드사들이 일제히 부진한 실적을 거뒀습니다.
이에 카드사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실적 악화 극복에 나섰는데요.
손효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사회적거리두기 전면 해제 이후 내수가 점차 회복되면서 카드사들도 함께 바빠졌습니다.
올해 1분기 카드 승인금액은 277조 5천억 원, 승인건수는 63억 7천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5%, 11.9%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늘어난 매출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올해 1분기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국내 주요 카드사 5곳의 올해 1분기 합산 당기순이익은 약 4천6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3% 감소한 모습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실적 악화의 우려가 현실로 드러난 것입니다.
지난해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카드사의 자금 조달원인 채권의 비용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어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에 크게 의지하기 때문에 타격이 더욱 큽니다.
지난해 연초 2%대였던 여전채 3년물 금리는 11월 들어서는 6%대로 치솟았습니다.
또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져 연체율이 오른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카드사는 연체 고객의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해 미리 대손충당금을 쌓아두게 되는데,
이 대손충당금이 증가하면 당기순이익이 감소해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카드사 실적 악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인터뷰(☎) : 서지용 / 한국신용카드학회장
- "가맹점 수수료 인하, 자금 조달비용 상승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건전성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위험관리 비용까지 증가하면서 1분기보다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카드업계는 실적 악화에 맞서 사업 다각화로 돌파구를 찾겠다는 전략입니다.
특히 최근 카드사들은 비카드 부문인 할부금융과 리스 영역을 크게 늘리고 있습니다.
할부금융은 자동차 등 가격 부담이 큰 제품을 고객 대신 일시불로 구매하고, 이후 고객으로부터 대금을 나눠서 받는 사업입니다.
리스도 자동차와 같은 특정 물건을 고객에게 장기간 대여해 주고 그 기간 동안 사용료 등을 받는 사업입니다.
할부금융과 리스 모두 대가를 정기적으로 받기 때문에 수익 창출이 가능한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카드사들이 할부금융·리스 등 비카드 부문 확대를 통해 실적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손효정입니다. [ son.hyojeo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