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현대차와
기아는 2030년까지 총 18조 원을 관련 분야에 투자하고, 미국, 유럽에서 소프트웨어 인력을 채용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현대차그룹은 오늘(12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2025년부터 전 세계에서 판매하는 모든
현대차그룹 차량은 구입 이후에도 성능과 기능이 업데이트되며 늘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차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먼저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Over The Air)를 기본 적용할 계획입니다.
고객이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차량의 성능을 개선하고 원하는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현대차그룹은 고객이 원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구독형(FoD·Feature on Demand) 서비스도 내년 일부 차종에서 선보입니다.
이런 SDV 전환 과정에서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은 올해 말 1천만 대에서 2025년 2천만 대로 증가할 것이라고
현대차그룹은 기대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공용 플랫폼을 개발하고, 기능 집중형 아키텍처(Domain Centralize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제어기도 통합합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출시 예정인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과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전기차 플랫폼 eS에는
현대차그룹의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가 처음 적용됩니다.
IMA는 전기차 모델에 따라 별도 사양이 적용되는 배터리와 모터를 표준화합니다.
또 차량 제어기를 4가지 기능 영역으로 각각 통합시킨 기능 집중형 아키텍처를 개발해 제어기 수도 줄일 계획입니다.
기존에는 차량 기능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각각 수정해야 했는데, 제어기를 통합하면 이런 수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통합 제어기에 최적화된 커넥티드카 운영체제 ccOS도 고도화할 방침입니다.
ccOS는 모든 제어기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현대차그룹은 ccOS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고성능 정보처리 반도체인 엔비디아 드라이브 하드웨어를 탑재시킵니다.
현대차그룹은 자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제어기 통합으로 자율주행 기술력도 강화합니다.
또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차 생애주기 전반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고 가공해 혁신 서비스를 창출하는 한편 물류, 쇼핑, 레저, 숙박 등 다양한 이종 산업과도 제휴할 계획입니다.
현대차그룹은 이런 SDV 전환을 위해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를 국내에 설립하고, 로지스틱스 시장 진출에도 나섭니다.
아울러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용 디바이스와 솔루션도 개발합니다.
이 밖에 자체 개발한 모빌리티 디바이스가 스마트폰 생태계와 연결되는 시스템을 구축해 '총체적 사용자 경험'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현대차그룹은 SDV로의 전환으로 수익성이 상당 부분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SDV 개발을 위해 공용화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차량에 적용하면 기획과 설계, 제조 등에 걸리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또 플랫폼을 공용화하면 차급과 관계없이 부품을 공유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20%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매하는 FoD 서비스로 판매 매출도 늘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보고 있습니다.
현대차 연구개발본부장을 맡은 박정국 사장은 "
현대차그룹은 하드웨어 기술 위에 최적화된 전용 소프트웨어 기술을 더하고, 그 적용 영역을 확대해 더 큰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