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긴장 고조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크지 않다고 정부가 평가했습니다.
다만 정부는 앞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에너지·공급망·금융시장 등의 동향을 일일 단위로 점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오늘(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 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최근 긴장 고조 상황에도 불구하고 주요 부문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특이 동향이나 이상 징후 등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차관은 "국내 금융시장은 일부 영향을 받는 상황이지만 원/달러 환율이 주요 통화 대비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2월 수출도 20일까지 13.1% 증가하는 등 견조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공급망 차원에서도 러시아나 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재고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으며, 대부분 품목은 수입선 전환이나 국내 생산을 통한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차관은 또 "원유 등 에너지의 경우 장기 계약을 통한 도입 비중이 높으며, 106일분의 정부 비축유를 비롯한 단기 수급 물량을 충분히 확보해 수급 차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이 높은 곡물 역시 사료용 밀은 7월, 옥수수는 6월까지 사용 가능한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이 차관은 "향후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하거나 강도 높은 제재가 이어질 경우 경제적 파급 영향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오늘부터 범부처 합동 우크라이나 비상 대응 TF를 매일 개최해 에너지·공급망·실물·금융 등 관련된 모든 분야에 대한 상황을 일일 단위로 파악하고 점검하는 한편, 분야별로 가능한 대응 조치는 즉시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임정화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