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이른바 '평화유지군' 명목으로 군대를 파견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제재에 나서면서 금융시장이 출렁거렸습니다.

현지시간으로 22일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2.57포인트(1.42%) 떨어진 33,596.61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4.11포인트(1.01%) 내린 4,304.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6.55포인트(1.23%) 내린 13,381.52에 각각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 지수는 4거래일째 하락이고, S&P 500 지수는 지난달 3일 전고점보다 10% 이상 내렸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날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 세력인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의 독립을 승인하고 파병 명령을 내렸다는 소식이 '대통령의 날' 공휴일로 하루 쉬었던 뉴욕증시에 뒤늦게 충격파를 몰고왔습니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일 오후 연설에서 러시아의 평화유지군 파병을 "침공의 시작"이라고 묘사한 직후 다우 지수 하락폭은 장중 700포인트를 넘겼습니다.

경제컨설팅 업체 세븐스리포트의 창립자 톰 에세이는 CNBC방송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상황이 여전히 매우 유동적이고 긴장이 매우 높은 상태"라면서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에 역풍을 계속 몰고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사태가 전면전으로 확전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가 경제에 미칠 여파를 주시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습니다.

이날 하루에만 미국, 영국, 유럽연합(EU)이 잇따라 러시아를 상대로 각종 경제·금융 제재안을 내놨고, 독일은 러시아와 자국을 잇는 가스관 '노르트 스트림-2 사업의 중단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고성장 기술주는 물론 은행과 제조업 회사 등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 종목들도 대부분 하락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