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에게 듣는다! 2차전지, 진짜는 이제부터!

Q. 글로벌 친환경차 대세는 역시 전기차?
A. 실제 상용화 정도로는 전기차가 훨씬 앞서
A. 전기차 비중 2040년에는 50% 넘어설 것

Q. 전기차 보급형·고급형…어디에 투자할까?
A. 보급형 주행거리 350~400km→대부분 전기차 해당
A. 고급형, 주행거리 500km 이상…가격도 2배
A. 최근 완성차 업체들 고급형 전기차 적극적 준비
A. 보조금에 자유롭고 수익성 확보 용이→실적 우려↓

Q. 중국의 전기차 굴기 계속되나?
A. 자동차 시장 열세 만회하려 전기차 적극 지원
A. 주행거리별 차등 지원 및 인프라 확충

Q. 전기차 배터리 팩 시장 전망은?
A.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능력, 2030년 1,500GWh 이상
A. 배터리 팩 가격, KWh당 109달러까지 하락 전망
A. 전기차 출시 규모 증가로 빠르게 시장 확대

Q. 고전 중인 ESS 시장, 실적 개선될까?
A. 각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힘입어 성장
A. 2차전지에서 ESS 비중 10%까지 확대 전망

Q. 2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는?
A. 주행거리 향상 위해 4대 소재 효율성 개선 필수
A. 2차전지 핵심 소재에 대한 수요 더욱 증가

Q. 2차전지 소재 별 대표 기업 전망은?
A. 양극재, 엘앤에프·에코프로·코스모신소재 등
A. 음극재, 포스코켐텍·대주전자재료 등
A. 전해질, 후성·천보 등
A. 장비, 신흥에스이씨·이노메트리·대보마그네틱 등

Q. 소재 관련 기업 신규 상장 늘어나는 이유?
A. 작년부터 2차전지 관련주 상장 크게 늘어
A. 시장이 그만큼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
A. 에코프로비엠·명성티엔에스·천보 등 최근 상장

Q. 2차전지 섹터 내 탑픽 종목은?
A. 엘앤에프, 작년 설비증설 효과 올해 하반기 반영
A. 천보, 전해질 부분 경쟁력 우위로 매출 증가
A. 장비기업 중 대보마그네틱·이노메트리 주목

KB증권 김철영 스몰캡 애널리스트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