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서울 강남3구' 등 규제 완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는 주택 가격이 향후 1~2개월간 가계부채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17일 은행권에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다.
특히 당국이 '운용의 묘'를 강조한 상황에서 은행은 금리 인하기 대출 관리를 위해 연초에 풀었던 대출 규제를 조이고, 차주에 대한 심사를 강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날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주재로 국토교통부, 금융감독원,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진행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1월 9000억원 감소했으나 지난달엔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달은 이날 기준 전달에 비해 증가세가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집값이 자극을 받는 점이 향후 변수로 작동하고 있다.
여기에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코픽스(COFIX)는 신규 취급액 기준 2.97%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11%포인트 하락했다.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인 코픽스 금리는 2년6개월 만에 2%대에 진입했다.
점검회의에선 당분간 주택담보대출 관련 움직임을 세분화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강남3구 등 최근 급등 지역에 대한 주담대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권 처장은 "3월 이후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권 스스로가 3월 시장 상황 판단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숙제를 부여받은 은행권에서 작년 8월 이후 진행했던 갭투자 방지 전세대출 규제처럼 추가 조치를 이어 갈 가능성이 있다.
이날 농협은행은 오는 21일부터 서울 지역 내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갭투자 등 투기성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다.
[채종원 기자 / 한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