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기업을 포함한 300인 이상 기업에 다니는 근로자의 연간 임금 총액이 처음으로 7000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임금 수준은 4400만원대로 대기업의 62% 수준에 불과해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16일 발표한 '2024년 사업체 임금 인상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300인 이상 사업체 상용근로자의 연간 평균 임금 총액은 7121만원으로 처음으로 7000만원을 돌파했다.


상용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계약직과 정규직·무기계약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연 임금 총액은 초과급여를 제외한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정액급여+특별급여)을 연간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중소기업이 포함된 300인 미만 사업체의 연 임금 총액은 4427만원을 기록했다.

대기업이 포함된 300인 이상 사업체와 비교하면 62.2%에 해당하는 수치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