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예고한 ‘관세 전쟁’의 신호탄 격인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12일(현지 시각) 발효됐다.

한국이 지난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철강에 적용받던 기존 면세 쿼터(연간 263만t)는 폐기됐다.


지난달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포고문에 따라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과 파생 제품에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 12일 오전 0시 1분(한국 시간 12일 오후 1시1분)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통신 등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과 파생 제품 약 1500억 달러(218조원) 상당이 이번 관세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었다.

이번에 알루미늄 관세율도 25%로 올리는 한편, 관세 적용 대상을 철강·알루미늄으로 만든 253개 파생제품으로까지 확대했다.


또 그동안 각국과의 합의에 따라 적용해 온 예외와 관세 면제는 원칙상 전부 없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지난 11일 인천의 한 제철 공장에 철근이 쌓인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다만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과 가전·항공기 부품 등 87개 파생상품은 미국 상무부의 추가 공고가 있을 때까지 관세 적용이 유예된다.

볼트·너트·스프링 등 166개 파생상품은 곧바로 25% 관세가 적용된다.


일각에서는 전 세계를 상대로 25% 관세가 적용되는 만큼 한국은 주요 수출 경쟁국과의 대미 수출 경쟁에서 더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전망이 나온다.

오히려 수출 물량 상한이 없어지면서 한국 철강 업체들이 미국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나온다.


그러나 관세 장벽으로 인해 US스틸 등 미국업체 제품들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돼 기존 한국산 제품의 수요를 미국 제품이 일정 부분 흡수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20일 백악관 복귀 이후 1차적으로 불법 이민자와 마약류 유입을 문제 삼은 뒤 캐나다·멕시코·중국 등 3개국을 상대로 관세 카드를 뽑아 들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