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 회사를 삼성이 살렸다고?”...경영난 빠진 中企에 무슨 일이

車램프 부품 만드는 아이엘모빌리티

생산성·품질 대폭 끌어올리고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 구축
전동 사출기 도입으로 효율화
차종 수주 확대 목표로 도약

송성근 아이엘모빌리티 대표(오른쪽)가 김상현 삼성전자 스마트공장실행팀 위원에게 새로 도입한 그랜저 램프 전자 검사장비를 설명하고 있다.

<아이엘모빌리티>

아이엘모빌리티는 한때 경영위기에 처했던 자동차 램프 부품 제조업체다.

과거 우수 AMI라는 이름으로 운영됐다.

경영난 속에서 아이엘사이언스에 인수되며 전환점을 맞았고, 지난해 초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혁신 지원으로 회생의 기회를 잡았다.


아이엘모빌리티는 현재 임직원 170명 규모로, 지난해 354억원에서 올해 452억원의 연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생산 제품은 자동차 램프류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점등되는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리어 램프, 사이드미러 램프 등을 생산한다.

제조 공정은 사출을 중심으로 전 공정을 보유하고 있다.

사출-증착-융착-도장-조립 등 총 5개 공정이다.


지금까지 아이엘모빌리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생산과 재고 관리의 비효율성이었다.

제품 생산 정보와 개발 정보가 전사에 체계적으로 공유되지 않았다.

일일이 수기로 기록하는 등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됐다.

체계적인 재고 관리도 이뤄지지 않았다.

공정 간 반제품 보유 재고가 넘쳐나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했고 생산성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삼성전자는 2024년 1월부터 혁신 지원단을 통해 아이엘모빌리티의 문제 진단을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말부터 본격적인 공장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총 103건에 달하는 개선 과제가 도출됐으며, 이 중 74건이 완료됐다.

핵심 과제는 생산, 품질, 물류, ESG, 3정(정위치·정품·정량) 등 분야다.


약 1년간 노력 끝에 아이엘모빌리티 공장은 눈에 띄게 변화했다.

공장의 ‘스마트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MES 시스템을 도입하고 기존 수작업 생산관리 방식을 전산화하며 공정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가장 눈에 띄는 개선 사례는 유압 사출기 교체다.

기존 유압 사출기는 노후화돼 기름이 새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신형 전동 사출기로 전환하면서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됐다.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지원사업단이 두 차례에 걸쳐 지원을 진행한 것도 이례적인 사례로 꼽힌다.

보통 한 번의 지원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아이엘모빌리티 임원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혁신 의지를 보인 덕분에 두 번째 지원까지 이어졌다.

현장에서 직접 삼성전자 위원들이 자재를 공급하고 랙(선반)이나 대차를 제작하는 등 변화를 주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총 80개의 랙과 대차가 새롭게 구축됐다.


송성근 아이엘모빌리티 대표는 “이전에는 부품 4000개와 제품 1300개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공정 간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않아 작업자들이 직접 현장에서 재고를 확인해야 했다”며 “하지만 이제는 일괄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해져 출하 자동화, 자동 구매, 기록 관리 등 업무가 한층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엘모빌리티의 중장기 목표는 회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지난 몇 년간 자동차 업황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성장하지 못했던 원인을 분석하고, 신규 차종 수주로 새로운 도약을 끌어내겠다는 목표다.

현재 국내 핵심 완성차 고객사에 40여 종의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앞으로 신규 공급 차종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아이엘모빌리티 스마트공장의 진화도 현재 진행형이다.

아이엘모빌리티는 현재 스마트팩토리 MES 공장 운영의 중간 수준을 구축한 상태다.

로봇 등을 활용해 100% 공장 자동 운영이 가능하도록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올해 말까지 혁신 작업을 마무리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송 대표는 “아이엘모빌리티가 아이엘사이언스를 만나고 삼성전자의 지원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