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TOP VC와 네트워킹
KIC 제6차 SV 국제금융협의체

10일(현지시간)미국 샌프란시스코 SVB에서 열린 ‘벤처캐피털 컨퍼런스2025’에서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있다.

<주SF총영사관>

미국에 진출한 국내 기관 투자자들이 실리콘밸리를 대표하는 벤처캐피털(VC) 투자자와 한자리에 모여 최신 투자 동향과 상호 협력 기회를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샌프란시스코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는 10일(현지 시각) 오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실리콘밸리은행 익스피리언스센터에서 ‘벤처캐피탈 컨퍼런스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NEA, 제너럴 카탈리스트, 라이트스피드 등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캐피털의 파트너 투자자들이 연사로 나섰다.

실리콘밸리 현지 벤처투자기관, 자산운용사, 기업형벤처캐피털(CVC)과 한국계 벤처투자자 및 스타트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네트워킹 시간도 가졌다.


임정택 총영사는 환영사에서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딥시크 출현 등으로 AI를 비롯한 첨단기술 및 벤처투자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미국의 벤처투자자들과 스타트업들이 함께 모여 기술과 투자 동향을 논의하고 투자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개최했다”고 말했다.


임 총영사는 참석자들에게 ‘글로벌 4대 벤처투자 강국’ 도약을 위한 한국 정부의 벤처투자 정책 및 글로벌 투자유치 노력 등을 소개하고, “주정부 및 KIC 등 재외공관 원팀 협의체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리콘밸리 한인 VC 및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릭양 NEA의 테크놀로지 부문 대표는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소비자 기술, 핀테크 등의 어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유망 투자 기회가 다수 발생할 것”이라면서 “AI 어플리케이션 스타트업들 중 뛰어난 창업자를 선별하여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제너럴 카탈리스트의 마크 크레인 파트너는 “우리는 이전부터 창업자들이 회사를 설립하는 첫 단계부터 도움을 제공해왔다”고 소개하며, ”앞으로도 초기단계에서 다양한 투자 기회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며, 정보보안 영역도 유망하게 본다”고 말했다.


아이작 킴( 라이트스피드 파트너는 성숙 단계 기업의 M&A 전망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행사를 공동주관한 KIC의 이경식 샌프란시스코 사무소장은 “혁신적인 AI 기술의 확산과 정책 변화가 동시에 빠르게 진행되어 벤처투자에 대한 기회와 위험이 공존하고 있다”며, “실리콘밸리 최고의 전문가들과 유망한 미래 투자 기회를 함께 살펴 본 이번 행사는, 한국 기관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벤처투자를 확대해 나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된 뜻깊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도 KIC는 총영사관과 협업해 실리콘밸리 한국 기관 투자자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KIC는 2017년 첫 벤처투자를 시작했으며, 2021년 3월 샌프란시스코 사무소를 설립, 벤처 및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직접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KIC 샌프란시스코 사무소는 2022년부터 실리콘밸리 국제금융협의체를 개최하며, 실리콘밸리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관 투자자와 미국 주요 VC·스타트업 생태계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제6차 실리콘밸리 국제금융협의체와 병행해 열렸다.


[실리콘밸리=이덕주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