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항공이 11일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연 '라이징 나이트' 행사에서 신규 CI와 도색이 적용된 보잉 787-10 항공기가 공개되는 모습. 공항사진기자단 |
대한항공이 기존 회사를 상징하던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 로고를 도입한다.
대한항공이 로고를 바꾸는 건 1984년 이후 무려 41년 만이다.
지난해 말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한 이후 내년 말 출범이 예정된 통합 항공사의 정체성을 선제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대한항공은 11일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라이징 나이트(Rising Night) 행사를 열고 새 CI와 항공기 도색 등을 선보였다.
이날 행사에는 임직원, 외빈, 취재진 등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환영사에서 "통합
대한항공은 앞으로 마음과 마음, 세상과 세상을 하늘길로 연결하겠다는 수송의 가치에 집중할 것"이라며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노하우를 하나로 보듬고 장점을 살려 문화를 융합해 세상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롭고 멋진 항공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대한항공의 오랜 전통이었던 태극마크 로고와 CI를 바꾸게 된 계기에 대해 "이번에 CI를 바꾸게 된 것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에 맞춘 것"이라며 "미니멀리즘과 현대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신규 CI 반영 일정에 대해서도 밝혔다.
그는 "도색하는 행거가 있는 격납고가 부산에 있다.
대형기 같은 경우 한 대 도색하는 데 약 3주가 걸린다"며 "
대한항공 항공기와 아시아나 항공기를 합쳐서 250대가량을 다 도색하려면 길게는 3~4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 때문에 CI를 미리 공개한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의 새 로고는 기존
대한항공 태극마크에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해 세련된 이미지를 구현했다.
기존 태극마크와 달리 '
대한항공 다크 블루(Korean Air Dark Blue)'라는 단색만 사용해 국적항공사에 어울리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담아냈다.
대한항공은 항공기 도장을 비롯해 기내 서비스 물품 등 고객 접점에 있는 모든 곳에 신규 CI를 순차적으로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또
대한항공은 새 로고를 입힌 항공기 도장(리버리·Livery)도 공개했다.
또한
대한항공 고유의 하늘색 계열 색상을 유지하면서도 '메탈릭(metallic)' 효과를 더한 페인트를 새로 개발했다.
새로운 항공기 도장에는 AIR란 단어는 생략하고 로고 'KOREAN'을 볼드체로 새겼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이 같은 방식은 주요 글로벌 항공사들도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American(아메리칸항공), Swiss(스위스항공) 등이 있다.
새 로고를 적용한 항공기는 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투입될 예정이다.
브랜드 이미지를 통일하기 위해
대한항공 전용 서체와 아이콘도 개발했다.
로고 타입과 동일한 디자인 특성을 적용했으며
대한항공 홈페이지를 포함해 공항, 라운지, 기내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기내식 신메뉴와 업그레이드된 기내 서비스도 공개했다.
신규 CI 론칭을 계기로 보다 고급화한 기내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다.
대한항공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 소재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세스타(Cesta)의 오너 셰프인 김세경 셰프와 협업해 신규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
제철 식재료와 다양한 조리법을 사용한 고급 파인다이닝을 하늘에서도 즐길 수 있게 한 점이 특징이다.
모던하고 트렌디한 한식을 개발한 신규 메뉴도 선보인다.
한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살린 문어 영양밥, 차돌박이 비빔밥, 전복덮밥, 신선로 등을 주요리로 선정해 국적항공사로서의 정체성을 표현했다.
식기 등 기내 기물도 프리미엄 라인으로 리뉴얼했다.
우선 프랑스 명품 브랜드 베르나르도(Bernardaud) 차이나웨어 등 해외 유수 브랜드와 협업해 최고급 기내식에 어울리는 식기를 엄선했다.
기내 편의용품을 담은 상위 클래스 어메니티와 파우치는 영국 하이엔드 브랜드 그라프(Graff)와 협업했다.
대한항공의 E
SG 경영 방침에 따라 어메니티 구성품의 비닐 포장을 최소화하고 칫솔 손잡이 등에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점도 특징이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