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은 태국 국민의 모습. [사진 출처 = EPA 연합뉴스] |
경기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이유로 태국 정부가 10대 청소년에게도 1인당 약 43만원을 주기로 했다.
국가 재정이 부담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가계부채 부담을 줄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11일 방콕포스트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태국 경제부양위원회는 16~20세 국민 270만명에게 1인당 1만바트(약 43만원) 지급하는 방안을 최근 승인했다.
피차이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은 내각 승인을 거쳐 오는 2분기에 ‘디지털 지갑’을 통해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디지털 지갑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조금 사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된다는 게 이유다.
디지털 화폐는 스마트폰 등을 통해 현금처럼 쓸 수 있다.
태국 정부는 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보조금을 지급했다.
지난해 9월엔 취약계층 1450만명, 올해 1월 노년층 약 300만명에게는 1인당 1만바트를 현금 지원했다.
앞서 현 집권당인 프아타이당은 지난 총선에서 국민 1인당 1만바트 보조금 지급을 핵심 공약으로 걸었다.
그러나 야권이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반발했고 경제학계와 태국중앙은행(BOT) 등도 국가 재정 부담·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반대했다.
정부는 논란 속에서도 보조금 지급을 강행하고 있다.
피아치 부총리는 “지급된 보조금이 전국으로 퍼져 가계부채 부담을 완화할 것”이라며 “정부는 이 정책이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태국의 경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관광 산업이 침체하고 수출 부진으로 위축돼 있다.
지난해 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5%로 예상치에 못 미쳤다.
동남아시아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의 지난해 성장률 5.0%의 절반 수준이다.
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태국은 지난해 354억 달러(약 51조원) 규모의 대미 무역흑자를 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태국 경제가 올해 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정부는 이 수치를 넘어설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