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혈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과채음료 소비가 속절없이 줄어들고 있다.

전통의 강자 오렌지 음료 매출은 1000억원 밑으로 내려오기도 했다.


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과채음료 시장 규모는 소매점 기준 2020년 6438억원에서 지난해 5681억원으로 약 11.8% 감소했다.


과채음료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음료는 오렌지 과즙 음료인데 같은 기간 매출이 27.1% 줄어든 923억원으로 1000억원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포도(-26.6%), 사과(-15.8%) 과즙 음료도 매출이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나마 배 과즙 음료는 매출이 63.7% 증가해 사과 음료보다 시장 규모가 커졌다.


과채음료 소비가 줄어드는 이유는 건강과 혈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도 "건강을 중시하는 움직임에 따라 당류 함량이 높은 과채주스 수요가 줄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하루 열량의 10% 미만을 당류로 섭취할 것을 권하고 있다.

하루 2000㎉ 섭취 기준으로 보면 50g 정도다.

과일주스는 액체 형태라서 신체에 흡수되는 시간이 빨라 혈당이 급상승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제로 칼로리, 제로 당류를 겨냥한 대체 음료가 부상하고 커피에 대한 선호가 높아진 것 역시 과채음료 소비 감소로 이어졌다.

롯데칠성음료는 델몬트 등 과채음료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지만 최근 음료 시장을 탄산 위주로 운영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중점 사업 전략에 대해 제로 탄산 리더십을 내세우고 건강 관리 트렌드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