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KT]
세계 최대 이동통신(ICT)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가 성황리에 폐막했다.


6일(현지시간) 통신업계에 따르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나흘 동안 열린 MWC 2025가 막을 내렸다.

주제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융합(Converge), 연결(Connect), 창조(Create)이었던만큼 전 세계에서 참가한 2700여개 기업들이 모바일 기술에 AI 시스템을 입혔다.

10만9000명의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았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도 전시관을 꾸리고 AI 기술과 서비스를 공개하며 경쟁력을 자랑했다.


SK텔레콤은 전시관을 ‘네트워크 AI’, ‘AI 데이터센터’, ‘AI 플랫폼’, ‘AI 서비스’, ‘AI 얼라이언스’ 구역으로 다양하게 구성했다.

AI를 접목한 첨단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아이템을 배치했다.

특히 전시장 입구에 설치한 대규모 미디어아트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소개한 체험존에도 이목이 쏠렸다.

CNBC, 블룸버그, 니케이 등 외신도 SK텔레콤의 전시관을 주목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모바일 어워즈(Global Mobile Awards)’에서 최고의 클라우드 솔루션과 커넥티드 소비자를 위한 최고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포함해 4개 부문을 석권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글로머 어워즈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주관하는 시상식이다.

모바일 산업 전반의 혁신과 성과를 보인 기업을 선정하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ICT)의 오스카상으로 불린다.


이에 SK텔레콤은 가성비를 전면에 내세운 중국기업의 약진 속에서도 자존심을 지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중국기업은 글로머 어워즈에서 총 33개 분야의 47개 상패 가운데 절반 이상인 25개를 쓸어갔다.

차이나모바일, 화웨이, 샤오미,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 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사진 = SK텔레콤]
KT는 전시관 콘셉트를 ‘K-스트리트(STREET)’로 정하고 AI, 6G, 양자통신 등 차세대 기술에 기반한 대한민국의 미래 모습을 구현했다.

관람객 호응이 가장 컸던 전시는 케이팝 댄스 챌린지였다.

AI와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이 가수와 함께 춤을 추는 듯한 경험을 제공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소프트뱅크 경영진들도 KT 전시관을 방문해 AI 네트워크, 통신 시장 분석, 그래픽처리장치(GPU) 할당, 고객센터 지원 등 AI 에이전트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처음으로 단독 전시관을 마련했다.

안전한 통신 AI를 만들어 주는 보안 기술 브랜드인 ‘익시가디언(ixi-Gardian)’, 통화 녹음 요약을 넘어 고객을 이해하고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액셔너블 AI ‘익시오(ixi-O)’ 등 서비스를 공개했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을 강화했다.

구체적으로 MWC 2025 기간 중 구글 및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협업을 공식화했고, 중동의 통신사업자인 자인그룹과 익시오의 중동시장 입성을 논의하며 글로벌 사업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새내기 최고경영자(CEO)인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도 전시장 곳곳을 누비는 모습을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도 통합한국관을 운영하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

총 9개 기관과 147개 기업이 통합한국관 안에 부스를 세우고 기술력을 알렸다.

지난해 대비 규모가 늘었다.


박규현 SK텔레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실장은 “그 어느 해보다 AI에 대한 MWC 참가기업들의 관심이 뜨거웠다”며 “AI 분야 자강과 협력을 글로벌 ICT업계에 효과적으로 소개해 대한민국 AI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