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시게루 일본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식품·에너지 가격 급등 등 고물가에 따른 불만이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달 초 미·일 정상회담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사정권에서 일본도 벗어나지 못하면서 빛이 바랬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지난 21~23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시바 내각 지지율은 전달 대비 3%포인트 하락한 40%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내각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지지율이다.
집권 자민당 지지율도 3%포인트 떨어진 30%에 그쳤다.
반면 비지지율(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포인트 상승한 52%로 내각 출범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각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를 묻자(복수응답) 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44%가 '인플레이션 대응'이라고 답했다.
이어 '경제 전반'이 34%, '연금 문제'가 29%로 뒤를 이었다.
인플레이션은 현재 일본 국민이 정치에 불만을 품게 하는 대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달 요미우리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도 82%가 정치에 대해 "불만이 있다"고 답변했는데, 주요 이유로 '고물가'를 꼽았다.
실제로 일본의 지난달 소비자물가(CPI·신선식품 포함)는 전년 동기 대비 4.0% 오르며 2023년 1월 이래 2년 만에 다시 4%대에 진입했다.
식료품 중 신선식품 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21.9% 상승해 2004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쌀 가격은 1년 새 70.9%나 폭등해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있는 1971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구매 빈도가 높은 쌀이나 신선 채소류 가격 상승은 국민의 체감물가와 직결된다.
휘발유 가격도 3.9% 오르며 전월(0.7%) 대비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이 밖에 전기요금 18.0%, 도시가스 요금도 9.6%나 급등하며 전체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10.8%에 달해 가계 부담을 가중시켰다.
물가 영향은 실질임금 감소로 이어졌다.
지난해 일본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0.2% 줄면서 3년 연속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시바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방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처음 마주했던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 평가가 엇갈리며 결과적으로 신통치 않았다.
닛케이 조사에서 미·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평가한다'는 응답이 47%, '평가하지 않는다'가 42%로 집계됐다.
산케이신문이 22~23일 실시한 조사에서는 '평가한다'가 47.4%, '평가하지 않는다'가 48.0%로 나타나기도 했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