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닛케이 조사 40% 출범후 최저
美日 정상회담 반응도 시원치 않아
쌀 등 식품·에너지 물가 크게 올라
지난해 실질임금도 3년 연속 후퇴
‘물가 대책’ 촉구 여론 44% 최다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
일본 이시바 시게루 내각의 지지율이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급등 등 고물가로 인한 불만이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달 초 미일 정상회담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사정권에서 일본도 벗어나지 못하면서 빛이 바랬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지난 21~23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시바 내각 지지율은 전달 대비 3%포인트 하락한 40%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내각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지지율이다.
집권 자민당의 지지율도 3%포인트 하락한 30%에 그쳤다.
반면, 불지지율(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포인트 상승한 52%로 내각 출범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각이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를 묻자(복수 응답 가능)응답자중 가장 많은 44%가 “인플레이션 대응”이라고 답했다.
이어 “경제 전반”이 34%, “연금 문제”가 29%로 뒤를 이었다.
인플레이션은 현재 일본 국민들이 정치에 불만을 품게 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달 요미우리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도 82%가 정치에 대해 “불만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주요 이유로 “고물가”를 꼽았다.
실제로 일본의 지난달 소비자물가(CPI·신선식품 포함)는 전년동기대비 4.0% 오르며 2023년 1월 이래 2년 만에 다시 4%대에 진입했다.
식료품 중 신선식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1.9% 올라 2004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쌀가격의 경우 1년새 70.9%나 폭등해 비교가능한 통계가 있는 1971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구매 빈도가 높은 쌀, 신선채소류 가격 상승은 국민들의 체감 물가와 직결된다.
휘발유 가격도 3.9% 오르며 전월(0.7%) 대비 상승폭이 대폭 확대됐다.
이외에 전기요금 18.0%, 도시가스 요금도 9.6%나 오르며 전체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10.8%에 달해 가계 부담을 가중시켰다.
물가 영향은 실질임금 감소로도 이어졌다.
지난해 일본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0.2% 줄면서 3년 연속 후퇴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시바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방미해 트럼프 대통령과 처음 마주했던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 평가가 엇갈리면서 결과적으로 신통치 않았다.
닛케이 조사에서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평가한다”는 응답이 47%, “평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2%로 나타났다.
산케이 신문이 22일~23일 실시한 조사에서는 “평가한다”가 47.4%, “평가하지 않는다”가 48.0%로 오히려 부정적 견해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앞서 미일 정상회담 직후 일본 정계와 언론에서는 우호적 분위기가 연출됐다며 선방했다는 반응이 잇따랐다.
경제를 양보한 대신, 미국과의 안보협력 강화 등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이시바 총리는 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신에게 선택받은 인물이라고 확신한다”는 등 소위 ‘아부 외교’로 미국의 방위비 증액과 함께 관세 부과 압박도 피하는 듯했다.
그러나 이후 미국은 일본도 포함한 각종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다.
일본은 현재 장기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급격한 물가 상승을 겪고 있으며, 엔저까지 겹쳐 수입품 가격 상승이 국민들의 체감 경기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외교만으로는 애초에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어려운 구조라는 평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