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사고는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직을 유지하며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원장이 임 회장의 임기와 관련해 공식 석상에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원장은 이날 은행장 간담회를 마친 후 "우리금융이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 회장이 그만두면 거버넌스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회장 임기를 채우는 것이 좋다고 기회가 될 때마다 사석에서 많이 밝혔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우리금융의 부당대출 사고와 관련해 임 회장이 직을 내려놓는 것으로 책임을 물으려 한다는 세간의 시선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신 그는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이 직을 걸고 조직의 체질 개선을 위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면서 우리금융의 파벌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다만 임 회장 체제가 유지돼야 한다는 것과 금감원이 진행 중인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는 별개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원장은 "경영실태평가 도출과 그 이후 이어질 자회사 편입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현재 검사 중인 IBK
기업은행 전현직 직원들의 240억원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해선 "끼리끼리 문화, 온정주의 문화,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엄하게 들여다보고 더 큰 책임을 물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올해 1분기부터는 금리 인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 "이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을 정할 텐데 조금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채종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