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래 손보협회장 간담회
인구·기후·경제 변화에 맞춰
안전망역할 확대 나설 예정
보험 구독서비스 도입 검토
 |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년 손해보험협회 기자 간담회’에서 이병래 손보협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 |
손해보험협회가 저출산·초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출산 관련 신상품을 개발하고, 고령층의 노후대비 지원을 위해 시니어보험 활성화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보험 개발과 보험상품 구독서비스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을 함께 추진한다.
19일 손해보험협회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주요 업무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올해 손해보험산업의 3대 핵심 전략으로 △인구·기후·경제 위기 대응 보험의 사회 안전망 역할 확대 △보험산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 및 소비자 신뢰도 제고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개인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꼽았다.
우선 저출산·초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손해보험 상품 개발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난임 치료 보장 및 산후조리 지원 상품 등 출산 관련 신상품 개발을 활성화하겠다”며 “난임 치료비를 여러 차례 보장하고, 출산이나 육아 비용도 보장하는 상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회는 저출생·초고령화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상품에는 신상품심의위원회 시 추가적인 가점을 부여해 배타적사용권을 더 길게 부여하는 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치매·간병보험 등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지원한다.
이 회장은 “요양 정책연계형 또는 현물급부형 간병보험 등 시니어보험 활성화와 보험금 청구권 신탁 대상 확대, 돌봄 시설 확충 지원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특히 “보장성보험, 장애인전용보험에 100만원 한도의 세액공제가 제공되는데 간병보험도 세액공제를 100만원 한도로 신설하는 안을 검토해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기후위기가 기후 취약계층에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정부부처·지자체와 함께 기후보험 활성화 노력을 펼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회장은 “재물 손해를 보장하는 보험뿐 아니라 소득이나 매출 감소에 대해서도 보장할 수 있는 정책성 보험 모델 만들 계획”이라며 “손해 사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일정 조건 충족하면 바로 보험금 지급될 수 있는 ‘지수형 보험’ 활성화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보험 상품 한 번에 가입 가능하고 보험 외 서비스와 연계 가능한 보험상품 구독서비스 도입을 검토한다.
OTT(동영상 스트리밍) 등 구독 서비스와 해외 보험 구독 서비스 사례를 참고해 금융당국에 보험 구독 서비스 도입을 건의할 방침이다.
이 회장은 “소비자 패턴 변화에 맞춰 구독 서비스가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만큼 연구해보고, 필요시 금융당국과 협의해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시범운영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자동차보험 과잉 진료 문제와 관련해서는 연구용역과 공청회 등을 통해 초경미 사고 보상기준을 명확화하는 개선방안을 공론화하고, 한방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진료 수가 기준과 심사 지침을 명확히 하는 안을 추진한다.
비중증 과잉 의료로 인한 실손보험금 누수 방지를 위해서도 지속 노력해나갈 계획이다.
이병래 회장은 “손해보험산업에 요구되는 시대적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하여 사회 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보험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