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수면시간 6시간 27분
일본·이스라엘·미국 다음으로 짧아
“잘잔다” 응답자, 9명 중 1명 그쳐
기대수면과 실제수면 70분 차이나
‘잠 안올 때 술마신다’ 응답률
전세계 평균 대비 韓 2배 높아
 |
이케아는 19일 전세계 57개국의 수면패턴 등을 조사한 ‘수면의 발견’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인은 평균 수면시간과 수면의질 측면에서 조사대상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사진 = 이케아] |
한국인의 수면지수는 전세계 57개국 중 50위권으로 최하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자고 싶은 수면 희망 시간보다 1시간 이상 덜 잤고, 본인이 평가하는 수면의 질도 매우 낮았다.
19일 글로벌 가구 홈퍼니싱 브랜드 이케아가 57개국 5만5221명(한국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만든 ‘이케아 수면의 발견(IKEA Sleep Uncovered)’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수면지수는 59점으로, 전세계 평균(63점)보다 낮았다.
57개 조사국 중에서는 50위였다.
수면지수 1위는 74점을 기록한 중국, 최하위는 56점을 기록한 노르웨이로 집계됐다.
이케아는 수면의 질과 수면 시간, 잠 드는 데 걸리는 시간, 수면 흐름과 기상컨디션 등 5개 항목을 바탕으로 0~100점 척도의 수면 지수를 산출했다.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27분으로, 조사 대사 중 4번째 수면 부족 국가로 나타났다.
평균 수면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는 일본(6시간10분), 이스라엘(6시간21분), 미국(6시간25분)이 1~3위를 차지했다.
조사대상 국가 중 유일하게 중국만 평균 수면 시간이 7시간13분으로, 7시간을 넘겼다.
한국의 기대수면시간은 응답자 평균 하루 7시간39분이었는데, 이는 실제 수면시간과 1시간 이상 차이 나는 숫자다.
전세계 평균 기대 수면시간과 실제 수면시간과의 격차는 평균 1시간20분이었다.
한국은 부모도, 자녀도 수면의 질을 낮게 평가했다.
스스로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17%에 그쳐, 조사국 중 최하위였다.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이집트로, 응답자의 64%가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했다.
18세 미만 자녀의 수면 질이 좋다고 말한 한국 응답자는 38%로, 전세계 평균 67%와 격차가 컸다.
전세계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는 상위 4개 요소로는 스트레스(17%)와 불안장애(12%), 너무 많은 생각(11%), 수면 장애(8%)가 꼽혔다.
한국 응답자는 수면장애와 온도, 스트레스, 전자기기를 수면 방해요소라고 말했는데, 전세계 평균보다 전자기기가 잠을 방해한다고 말한 비율이 소폭 높았다.
스마트폰이 등 전자기기를 사용하면 잠을 잘 자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전 스마트폰을 확인했다.
전세계 응답자의 72%는 침실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한다고 답했고, 18~24세 연령층에서는 이 비율이 86%로 더 높았다.
숙면을 돕는 상위 3개 요소로는 규칙적인 생활(15%), 평온함과 휴식(13%), 편안한 침구(1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한국 응답자들은 운동(22%)을 숙면에 가장 도움이 되는 요소로 뽑았고, 규칙적인 취침 및 기상시간(11%), 소음감소(6%)가 뒤를 이었다.
특이한 점은 수면 보조 도구로 음주(10%)를 꼽은 응답자가 한국에 유독 많았다는 점이다.
한국에서는 수면 보조 도구로 에어컨·선풍기(34%), 암막커튼(22%), 음악 및 오디오북(15%), 약(12%)을 많이 사용했고, 5위가 음주였다.
전세계 평균(5%)보다 ‘잠 안올때 술마신다’는 답변이 한국에서 2배 높았다.
벨렌 프라우 잉카그룹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규칙적인 취침시간과 정돈된 공간, 숙면환경은 집에서의 생활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많은 사람들이 편안하면서도 기능적인 공간을 조성하고 더 나은 일상을 만들어가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케아는 보고서 결과를 종합해 주말에도 일정한 취침·기상시간 유지, 조명을 어둡게 해 아늑한 수면 환경 조성, 과식 금지·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 자제·억지로 잠들려하지 않기 등을 숙면 방법으로 제시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