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윈은 참석했는데, 리옌훙은 불참했다.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7일 이례적으로 민간기업과 심포지엄(좌담회)을 개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중국 안팎에서 가장 먼저 나온 반응이다.


정부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다가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 전 회장이 오랜만에 등장한 반면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의 창업자 리옌훙 회장은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우선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해 시 주석과 악수를 나눈 마 전 회장에 대해 '정치적 면죄부'가 주어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마 전 회장은 2020년 10월 당시 왕치산 국가 부주석 등 최고위 당국자들이 대거 참여한 포럼에서 금융당국의 규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후 알리바바 산하 앤트그룹 상장은 무산됐고 마 전 회장은 한동안 대중 앞에서 자취를 감췄다.


이 사건은 중국 공산당이 알리바바 같은 빅테크를 얼마든지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상징적 사례로 꼽힌다.

따라서 시 주석에게 '미운털'이 박힌 마 전 회장이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일 자체가 '빅테크를 지지한다'는 메시지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딩솽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민간과 혁신을 대표하는 마 전 회장의 재등장이 가장 유망한 신호"라며 "이번 심포지엄은 민간기업의 기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자리인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지금 어려워진 중국 경제를 민간기업 주도로 극복하려는 시 주석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미국을 충격에 빠트린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량원펑 창업자도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서 량원펑은 다른 정보기술(IT) 거물과 함께 시 주석과 악수하는 장면이 포착되는 등 그의 달라진 위상이 확인됐다.


마 전 회장과 달리 리옌훙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두고 2023년 중국 최초의 AI 챗봇인 '어니봇'을 내놓은 바이두가 시장에서 선도 입지를 잃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이사는 싱가포르 연합조보에 "바이두가 수년에 걸쳐 AI '어니(중국명 원신)'를 개발하면서 얻은 선도적 우위를 잃어가고 있음을 뜻한다"며 "딥시크 같은 후발주자를 따라가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틱톡(TikTok)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장이밍 창업자도 행사장에서 보이지 않았다.


부동산 분야 거물들은 완전히 배제됐다.

시 주석이 2018년 11월 집권 후 처음으로 민영기업 좌담회를 열었을 당시 완커(Vanke) 헝다(에버그란데)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등 부동산 회사 대표들이 참석했으나 이번에는 명단에서 아예 빠졌다.


홍콩 성도일보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부동산이 더는 민영경제 성장의 핵심이 아니며 신에너지와 첨단 제조업이 이를 대체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