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미국에서 최대 100억달러(약 14조4200억원) 상당의 무기를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군사적 압박이 지속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양측이 무기 구매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이어 "중국이 대만에 군사적 압박을 계속 가하고 있어 대만은 미국의 지원을 받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무기 구매 계획에는 해안 방어 순항미사일과 하이마스(HIMARS·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며 "(무기 구매 규모는) 70억~100억달러 사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만은 정밀탄약, 방공 업그레이드, 지휘·통제 시스템, 예비군 장비, 대드론 기술을 우선시하는 특별방위 예산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사안에 대해 대만 국방부는 "방위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에 관한 언급을 거부했다.

미국 백악관은 논평에 즉시 응답하지 않았지만 마이클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대만에 신속하게 무기를 인도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만을 향해 국방비 인상을 꾸준히 요구해왔다.

지난해 대선기간에 한 인터뷰에서는 "대만이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대만 싱크탱크인 대만국제전략연구회의 맥스 로 이사는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강한 독립 성향으로 미국에 대한 대만의 의존도가 커졌다"며 "대만 국방비와 관련해 미국의 기대도 2000년대에는 국내총생산(GDP)의 3%였지만 최근에는 5%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대만은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동시에 미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미국산 무기를 구매해왔다.

미국은 '대만관계법'에 따라 대만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