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영향 상대적으로 적어 풍선효과 가능성
정책대출도 조이는 만큼 중저가 시장 위축 우려도
 |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 일대 전경 [박형기 기자] |
정부가 지난 27일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 강화 등 전례 없는 특단의 대책을 내놨다.
서울 집값 과열 양상을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고액 영끌(영혼까지 끌어 대출)’ 수요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저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지역에서는 되레 시장 반등 기대감이 나온다.
대출 문턱이 높아지며 서울에서도 비교적 가격이 낮은 지역과 단지에 내 집 마련 수요가 집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30일 부동산업계·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8일부터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시행됐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7일 주담대 최대한도 6억원 제한, 2주택자 이상 및 1주택자 주담대 금지, 주담대 대출만기 30년 이내로 제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정책대출 최대한도 축소조정 등을 골자로 한 대책을 발표했다.
 |
서울의 은행 ATM 기기에서 고객들이 거래를 하고있다. [김호영 기자] |
주담대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면 연봉 1억원인 사람 기준으로 규제지역(LTV 50%)인 강남3구·용산구에선 12억원, 비규제지역(LTV 70%)에서는 8억5000만원 이상인 집을 매수하기 어려워진다.
일각에서는 5억~8억원대 아파트가 즐비한 노도강, 금관구 지역으로 수요가 이동해 집값이 상승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서울 외곽지역 중저가 아파트 시장으로 실거주 내집마련 수요가 유입되며 집값 ‘키 맞추기’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아파트 평균 매매금액(28일 기준·서울부동산정보광장)은 노원 6억292만원, 도봉 5억1984만원, 강북 5억5779만원, 금천 5억9875만원, 관악 8억512만원, 구로 4억6580만원이다.
이번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무주택자들의 수요가 많은 정책대출을 조이는 내용도 포함돼 있는 만큼 중저가 아파트 시장도 위축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대책 시행에 따라 일반 디딤돌대출은 한도가 기존 2억5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생애최초 디딤돌대출은 3억원에서 2억4000만원으로 각각 낮아졌다.
신혼부부 디딤돌대출과 신생아특례 디딤돌대출 역시 각각 4억원→3억2000만원, 5억원→4억원으로 줄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