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이 끝나고 난 뒤 'K방산'에 새 모멘텀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양당 후보 모두 주요 국가의 방위비 분담 증액을 요구하면서 누가 당선되더라도 국내 방산업계가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대선 결과에 가장 불확실성이 낮은 섹터로 꼽히는 분야는 방산이다.
기존 조 바이든 정부를 계승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나 도널트 트럼프 전 대통령 모두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에 방위비 분담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지난달 말 열린 국가방위군협회(NGAUS) 총회에서 현재 나토 회원국의 방위비 목표치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2%'에 대해 "2%는 세기의 도둑질"이라며 "모든 나토 국가가 반드시 3%를 지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동맹들이 철저히 책임을 지고 비용을 분담해야 국제사회에서 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방산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 인식도 호의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발발 이후 각국 정부가 방위산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그동안 방산업 투자를 꺼리던 E
SG(환경·책임·투명경영) 펀드들도 방산업체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국내 방산기업은 세계 증시가 불안정한 가운데서도 수출 증가에 기반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가가 안정적으로 관리됐다.
방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연중 주가가 124% 올랐다.
또 다른 방산 대표주인
현대로템은 97%,
LIG넥스원은 46.3% 상승하는 등 방산 섹터 자체의 모멘텀이 좋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358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6.5%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를 60% 이상 크게 상회했다.
현대로템은 주요 방위산업주 중 저평가된 종목으로 꼽힌다.
현대차증권은
현대로템이 3분기에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