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전기차 대중화 시대, 기업들이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찮습니다.
주행거리 확대와 충전시간 단축,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이 바로 그 예인데요.
여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게 바로 차세대 배터리 기술입니다.
이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기 위한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현대차는 신형 5세대 싼타페를 시작으로 배터리 역량 강화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신형 싼타페에 자체 개발한 신규 하이브리드 배터리를 탑재한 것.

현대차가 자체 생산 배터리를 탑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배터리 분야에 총 9조5천억 원을 투자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나서겠다는 방침입니다.

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2020년 배터리 내재화를 선언한 테슬라는 지난해 자체적으로 '4680 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향후 일본 파나소닉과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회사들과 양산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토요타는 일명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를 2027년 출시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입니다.

현재 전고체 배터리 특허 보유 1위 업체로, 2027년 10분 충전으로 1200km를 주행하는 전기차를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독일 폭스바겐은 지난해 배터리 생산 자회사 파워코를 설립했습니다.

파워코는 2030년까지 유럽에만 240GWh 규모 배터리 생산 공장 6곳을 세울 계획입니다.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 판매 단가의 40%를 차지합니다.

이에 완성차 업체들은 자체 배터리를 생산해 배터리 기업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전기차 선도업체인 중국의 BYD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 인터뷰(☎) : 업계 관계자
- "BYD처럼 내재화가 된 상황에서 심지어는 배터리를 판다… 그리고 이게 아직은 산업의 초창기라 신규로 진입하려는 회사들이 막 나타나잖아요."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생산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이유진입니다.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