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대표이사 최희문)이 지난해 말 상장한 '메리츠 대표 농산물 선물 ETN(상장지수증권)'이 증시 불황 속에서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유가와 원자재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대내외 이슈로 들썩이던 농산물 공급 시장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더해져 글로벌 곡물가격이 치솟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인플
레이션 헤지가 가능한 대체 투자의 방안으로서 농산물 투자 상품으로까지 모아지고 있습니다.
메리츠증권은 농산물 해외선물 거래나 관련 기업 투자가 어려운 개인 투자자들을 위해 작년 12월 16일 '메리츠 대표 농산물 선물 ETN 3종'을 출시했습니다.
해당 상품은 각각
메리츠 대표 농산물 선물 ETN(H),
메리츠 레버리지 대표 농산물 선물 ETN(H),
메리츠 인버스 2X 대표 농산물 선물 ETN(H) 총 3개 종목이며, 환헤지를 실시해 환율 변동 위험 없이 투자할 수 있습니다.
메리츠 대표 농산물 ETN 상품들은 모두 블룸버그에서 산출하는 '블룸버그 대표 농산물 지수'를 추종합니다.
매년 연초에 농산물 시장 수확량과 거래량을 감안해 가장 규모가 큰 3대 농산물을 대표로 선정하고 기초지수 종목 및 비중을 결정합니다.
농산물 시장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선정 방식이기에 '대표 농산물'로 지수명이 정해으며, 현재 해당 지수는 밀, 콩, 옥수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ETN 시장에서 개별 농산물 종목이 아닌 농산물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에 투자하는 종목은
메리츠증권 ETN이 유일합니다.
레버리지와 인버스2X까지 투자할 수 있는 종목들을 동시에 상장하였는데, 이는 농산물 시장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함한 상장지수상품(ETP) 시장 최초 상품입니다.
농산물 가격(블룸버그에서 산출하는 대표 농산물 총수익 지수 기준)은 2020년 8월까지 약 8년간의 긴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후 가파른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후 변화가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인 탈탄소 움직임 또한 간접적으로 농산물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분쟁이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까지 낳고 있다는 것이
메리츠증권 측의 설명입니다.
권동찬
메리츠증권 트
레이딩 본부장은 "최근 기후변화 및 에너지 대란으로 농산물 가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개별 농산물 종목에 대한 고민 없이 대표 지수에 다양한 방향성 및 배수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고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최근 인플
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치솟는 곡물가로 인한 애그플
레이션(agflation)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비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