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오늘(13일) 국민의당 대표였던 안철수 의원에게 합당 과정에서 국민의당 몫으로 배분하기로 했던 최고위원에 대한 추천을 재고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 대표는 이날 국민의힘 여의도 당사에서 당직자 월례조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제가 요청한 것은 아니고 권성동 원내대표와 한기호 사무총장이 각자의 채널을 통해 최고위원회에 있던 우려를 전달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안 의원은 최고위원 자리에 김윤 전 국민의당 서울시당위원장과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을 추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검찰 후배인 정 의원은 '친윤'(친윤석열) 인사로 분류됩니다.

이 대표는 "한 분(김윤)은 선거 과정에서 다소 강한 발언을 한 바 있어 안 의원에게 추천자로서 재고할 의사가 없는지 묻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합당 시 국민의당 측 인사가 당직에 참여할 기회를 열자는 취지에서 당직 배분을 논의했던 것인데 국민의힘 출신 인사(정점식)도 (추천 명단에) 있다. 의도가 조금 왜곡되는 측면이 있어서 그 부분도 재고를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윤 전 위원장은 지난 3월 1일 국민의힘-국민의당 후보 단일화 협상이 난항을 겪자 "걸레는 아무리 빨아도 걸레다. 국민의힘은 고쳐 쓸 수 없다. 청산 대상이다"라며 강도 높은 비난을 한 바 있습니다.

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대선과 함께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대구 중남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임병헌 의원의 복당을 의결해 '말 바꾸기' 지적이 나온다는 물음에는 "당원의 의견을 굉장히 강하게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표는 "당원들이 지방선거를 거치며 (당협위원장 부재로 인한)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는 의견을 보냈다"며 "(무소속 출마자의 복당은 없다는) 대선 당시 권영세 사무총장의 언급과 배치되는 판단이라 심도 있는 논의를 했고 당원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같은 당 박대출 의원 등 10인이 발의한 중대재해처벌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실제로 기업인의 활동을 위축하는 요소가 과도히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기업활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중대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노동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자는 취지를 벗어나는 수준까지 개정되면 안 된다는 소신이 있다"며 "노동자의 안전은 어떤 작업환경에서도 절대 양보나 타협할 수 없는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박 의원은 지난 10일 "재해가 발생한 경우 법률 적용의 다툼이 있을 수 있고 과도한 처벌로 인해 선량한 자의 억울한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며 안전조치를 취한 사업주와 경영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감경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 박소민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