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탐지 방법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디지털 사진의 변형 여부를 탐지하는 모바일 앱'카이캐치'(KaiCatch)를 개발해 서비스한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전산학부 이흥규 교수 연구팀과 KAIST 창업기업인 디지탈이노텍이 공동으로 개발한 이번 기술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사진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딥페이크(deepfake·인공지능 영상 합성) 탐지 앱 개발은 국내 최초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딥페이크 등 각종 위·변조 영상으로 인한 가짜 뉴스, 음란물 제작, 영상 증거 조작 등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도구가 없어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연구팀은 30여만장의 이미지 데이터, 포렌식 영상 데이터, 딥페이크 실험 영상 자료 등을 인공신경망을 통해 학습해 미세 변형·이상 신호 흔적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얼굴 영역의 미세 변형이나 코, 입, 얼굴 윤곽 등 얼굴 내 기하학적 왜곡이 발생 가능한 영역에서 이상 신호 흔적을 분석해 딥페이크를 탐지하게 됩니다.

분석 결과는 0에서 100까지의 값으로 표시되며, 숫자가 높을수록 딥페이크일 확률이 높다는 뜻입니다.

이흥규 교수는 "예측할 수 없거나 알려지지 않은 변형 기법을 사용해도 90% 안팎의 높은 정확도로 탐지할 수 있다"며 "애플 iOS 기반 앱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 이태준 인턴기자 / taejun9503@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