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동결된 이란 원화 자금의 활용 방안과 관련해 한국 측 제안에 이란이 동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23일) "유정현 주이란 대사와 이란 중앙은행 총재의 22일 면담 때 이란 측은 우리 측이 제시한 방안에 대해 동의 의사를 표명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은 70억 달러(약 7조 7천억 원) 규모로 알려진 국내 이란 동결 자금의 활용을 위해 이란 측과 다양한 방안에 대해 협의해왔습니다.
양국이 합의한 구체적인 방안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그간 제한적으로 이뤄졌던 의약품, 의료 기구 구매 규모를 늘리는 등 인도적 물자의 교역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일부 자금을 해외로 이전한다는 계획 방안에도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과 이란이 이런 방안에 합의했더라도 동결 자금 해제를 위해선 미국의 승인이 필수적입니다.
이란 국영 IRNA 통신은 전날 유 대사와 압돌나세르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 간 면담 사실을 전하면서 양측이 한국 내 동결 자산 사용 방안에 합의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란 정부도 동결 자산 사용과 관련해 한국과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협의 과정이 남아있는데도 이란 측이 이처럼 한국과의 논의 과정을 발표한 것은 대내적으로 성과를 홍보하는 한편 미국의 빠른 조치를 압박하는 성격이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편에선 이란에 억류된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와 선장의 석방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기대도 나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